카타르서 손흥민이 찰 축구공…무선 충전 된답니다 [한입과학]

2022. 11. 23

한국 시각으로 지난 21일 ‘2022 카타르 월드컵’이 개막한 가운데 이번 월드컵에 도입된 첨단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월드컵 최초로 센서를 내장한 스마트 공인구와 경기장을 하나의 에어컨으로 만드는 냉각시스템, 전무후무한 임시 경기장 등이다.
센서 담긴 공인구, 오프사이드 정확히 잡아내

이번 월드컵의 공인구는 독일 스포츠 브랜드 아디다스와 피파(FIFA)가 함께 제작한 ‘알 리흘라(Al Rihla)’다. 아랍어로 ‘여정’이라는 뜻의 알 리흘라는 8개의 삼각형과 12개의 마름모꼴 조각으로 이뤄져 있는데 마름모꼴 조각에는 카타르 국기를 형상화한 무늬가 새겨져 있다.

알 리흘라의 가장 큰 특징은 밖이 아닌 안에 있다. 바로 공 안쪽 중앙에 달려있는 구형의 관성측정센서(IMU)다. 이 센서는 방사형 서스펜션 장치에 고정돼 공 중심에 떠 있는데 경기 내내 공의 위치 데이터를 1초에 500번 측정해 비디오판독실로 전송한다.

전송된 데이터는 이번 월드컵에서 활약 중인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SAOT)’에 쓰인다. SAOT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ETH) 그리고 캐나다 빅토리아대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기존 비디오판독시스템(VAR)보다 빠르고 적극적으로 오프사이드를 판정하도록 돕는다.

지난 2016년 클럽 월드컵에 처음 도입된 VAR은 비디오판독실에 있는 VAR 담당 심판이 오프사이드, 페널티킥 등 결정적인 상황에서 카메라를 통해 송출된 경기 장면을 살펴보고 주심과 교신해 오심을 줄이는 시스템이다. 주심의 판정이 번복될 여지가 있으면 주심이 비디오를 확인하도록 요청한다.

반자동 오프사이드 판독 기술(SAOT)이 작동하는 장면. 오프사이드로 판정될 경우 해당 장면을 3D 애니메이션(오른쪽)으로 구현해 관중에게 보여준다. [사진 출처 = 피파 유튜브]
그런데 모든 판정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고 특히 오프사이드는 판정하기가 까다로워 경기 시간이 많이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 SAOT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기장 지붕에 설치된 12대의 카메라로 선수들의 발끝·무릎·팔꿈치·어깨 등 신체 부위 29곳의 위치 데이터를 초당 50회 수집한다.

인공지능(AI)은 이 데이터와 알 리흘라가 보내온 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약 0.5초 만에 오프사이드 여부를 판정해 비디오판독실에 알린다. 이를 본 VAR 담당 심판이 오프사이드라고 판단하면 주심에게 통보한다. 정확하지만, VAR 담당 심판의 검사를 거쳐야 하므로 ‘반자동’이라고 부른다.

알 리흘라는 경기 내내 데이터를 전송해야하므로 센서의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아디다스에 따르면 무선 충전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데 경기 전 충전을 완료하고, 경기 중에는 충전하지 않는다. 완충 시 약 경기장에서 6시간 동안 작동하며 대기 상태에서는 최대 18일 동안 지속된다.

카타르 경기장 내부가 하나의 에어컨

올해 월드컵 개최지로 카타르가 선정됐을 당시 가장 염려됐던 건 11월 기준 26℃에 달하는 카타르의 기온이다. 축구 선수들은 보통 한 경기당 10킬로미터(km) 넘게 뛰면서 땀을 3리터(L)가량 흘리는데 카타르처럼 습하고 더운 환경에서는 땀이 증발하지 않아 쉽게 탈진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카타르는 사우드 가니 카타르대 기계공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 경기장 내부에 첨단 공기 순환·냉각 기술을 적용해 하나의 에어컨처럼 만들었다. 가니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터로 경기장 모형을 만든 후 형태에 따라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어떻게 바뀌는지 분석해 최적의 냉각 시스템을 설계했다.

먼저 인근 바다에서 불어오는 덥고 습한 바람이 경기장 지붕을 타고 흘러가게 만들어 내부로 들어오지 않게 하고, 태양열을 반사하기 위해 색상을 밝게 바꿨다. 약 4만명이 모이는 관중석 주변은 좌석 아래 설치된 작은 통풍구를 통해 시원한 공기를 공급해 온도를 낮추도록 했다.

카타르 알라이얀의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에 설치된 통풍구.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경기장은 외곽의 거대한 환풍구를 통해 시원한 공기를 내보내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 따듯한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찬 공기를 위로 뿜어 자연스럽게 가라앉도록 하므로 선수들은 공기가 주입되는 걸 거의 느끼지 못한다.

주입된 공기가 뜨거워지면 흡수팬이 빨아들인다. 이 공기는 파이프를 통해 경기장 구석에 마련된 열교환기의 냉각수를 통과하면서 다시 차가워지고, 다시 경기장에 공급된다. 열을 식혀줄 냉각수가 따뜻해지면 경기장에서 3km가량 떨어진 저장 탱크에서 온도를 낮춘 후 다음 경기에 재사용된다. 이 일련의 과정은 태양에너지로 작동된다.

이번 카타르 월드컵은 총 8개 경기장에서 열리는데 이 중 7개 경기장이 이런 냉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유일한 예외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 있는 ‘스타디움974’인데 이 경기장은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설계돼있어 별도의 냉각 시스템이 필요 없다.

2022 카타르 월드컵 개막을 사흘 앞둔 17일(현지 시각) 카타르 도하의 스타디움974.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아울러 스타디움974는 월드컵 역사상 최초의 임시 경기장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스타디움974는 외관에서 알 수 있듯이 재활용 스테인리스스틸 컨테이너를 쌓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는데 그 수가 카타르의 국제전화 발신 코드인 ‘974’개다.

스타디움974는 적은 재료로 빨리 만들 수 있으며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경기장을 만들자는 취지로 건설됐다. 디자인을 맡은 스페인 건축 회사 펜윅 이리바렌은 레고 블록을 쌓는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월드컵이 끝난 후 쉽게 분리하거나 더 작은 경기장으로 재건할 수 있는 모듈식 설계를 적용했다.

스타디움974에서는 이번 월드컵 기간 동안 총 6번의 조별 경기와 한 번의 16강전 경기가 개최될 예정이다.

출처:카타르서 손흥민이 찰 축구공…무선 충전 된답니다 [한입과학] (daum.net)